생활의 상식

[스크랩] * 제 주[차례주]*

대영플랜트 2010. 7. 31. 18:31
 
 
  •  

     새해 복 많이 받으세요

    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
                  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

  •    [Why] 소주는 차례상에 못 올리는걸까

  • 추석을 맞아 차례주(茶禮酒)는 뭘 쓸까? 이런 고민을 한번쯤 하는 사람은 그래도
  •  멋을 아는 사람이다. 일제 시대를 거치면서 차례상이나 제사상에는 일본 청주인
  • 정종이 많이 오르게 됐다. 망자(亡者)가 생전에 즐겼던 술을 쓰는 경우도 종종 볼
  • 수 있다. 망자가 생전에 바나나를 좋아했다는 이유로 제사상에 바나나를 올리듯이,
  • 최근에는 소주가 제주로 쓰이기도 한다.

    하지만 4대 봉사하거나 윗대 조상들을 함께 모시는 시제에서는 대개가 약주류의
  • 전통주를 제주로 쓴다.

    제주에는 금기가 많이 따르는데, 소주는 쓰지 않는다는 얘기들을 한다. 소주로
  • 유명한 안동 지방을 찾아가서, 소주를 제주로 쓰느냐고 여러 차례 물어보았지만
  • 아직까지 소주를 제주로 쓴다는 집안을 만나진 못했다. 왜냐고 물으면, 독한 소주
  • 를 제사상에 올리면 독한 후손, 쉽게 말해 독종이 나오기 때문이라고 한다. 하지만
  • 소주가 독하기 때문이라기보다, 제사라는 규범이 생기고 보급될 무렵에 소주가
  • 존재하지 않았거나, 소주를 구하기 어려웠기 때문이라고 보는 게 더 설득력이
  • 있겠다.

    ‘세종실록 오례의’에는 제사에 쓰는 8가지 술 오제삼주(五齊三酒)에 대해서 언급
  • 되어 있는데 모두가 탁주와 청주다.

  • ▲ 한산 소곡주를 만드는 과정. 찹쌀과 멥쌀이 주원료이며 들국화 말린 것이 들어가 특유의 향를 낸다. /허시명씨 제공

  • 오제는 범제(泛齊), 예제(醴齊), 앙제(?齊) 체제(?齊), 침제(沈齊)로 나뉘는데, 범제
  • 는 아직 지게미가 떠있는 덜 익은 상태이고 예제, 앙제, 체제로 갈수록 술이 익어
  • 가서 침제는 지게미가 다 가라앉은 상태의 술을 이른다. 크게 나누어 보면 범제와
  • 예제는 탁한 술이고, 앙제와 체제와 침제는 맑은 술이다.

    삼주는 사주(事酒), 석주(昔酒), 청주(淸酒)로 나뉘는데, 제사 일에 참여한 이들이
  • 마시는 술이라 하여 사주라 하고, 겨울에 빚어 봄에 익을 때까지 오랜 시간이 걸린
  • 다 하여 석주라 하고, 겨울에 빚어 여름에 만들어진 최고급 술을 청주라 했다.

    이 ‘세종실록 오례의’의 오제삼주 얘기는 중국의 ‘문헌통고’를 참조한 내용이지만,
  • ‘문헌통고’는 또 ‘주례’를 참고하여 내용을 구성했다. ‘주례’는 주나라 때에 작성되
  • 었다는 설이 있는데, 대체로 한나라(BC 206~AD 220년) 때에는 완성된 형태로
  • 존재한 것으로 보인다. 제주의 계보가 작성되고 나서 1000년이 흐른 뒤에야  
  • 원나라 몽골족에 의해서 증류주인 소주가 중국이나 한반도에 널리 알려지게 되었
  • 으니, 소주가 제사상에 오를 겨를이 없었던 것이다.

    요즘은 이렇게 종류를 달리하여 술을 올리는 제사를 찾아보기 어렵다. 오례의에
  • 가장 가깝게 지내는 제사로 서울 성균관의 석전대제를 꼽을 수 있다. 석전대제에
  • 서는 식혜와 덜 익은 술과 잘 익은 술을 함께 올리니, 오제의 전통을 거칠게나마
  • 잇고 있다 하겠다.

  • 까다롭게 제주 이야기를 했지만, 제사상에 오르는 음식처럼 술 또한 ‘이게 옳다,
  • 저게 옳다’ 하는 것은 예(禮)가 아니다. 맑은 찬물을 뜻하는 현주(玄酒)를 올릴
  • 수 있고, 감주(甘酒)만 올릴 수도 있다. 금주령이 심했던 영조 시대에 살았던
  • 성호 이익(1681~1763)은 유언으로 “내가 죽거든 제사에 예(醴, 단술)만 쓰고
  • 술은 쓰지 마라”고 했다. 금주령을 어기면 사형에 처했던 그 시절에, 혹시라도
  • 자식 손자들이 효도한다고 술을 빚어 제사상에 올렸다가 죽임을 당할까봐 걱정
  • 하여 남긴 유언으로 보인다.

    사실 차례상이나 제사상에 상품화된 술을 올리는 행위는 인스턴트 밥을 사서 제사
  • 지내는 거나 다를 바 없다. 제사 지내면서 옆집에서 밥 빌려오지 않듯이, 옛날에는
  • 술 또한 빌려오지 않았다. 하지만 시대가 달라졌는데 어떡하겠는가? 그래도 전통
  • 을 지켜온 술들이라도 헤아려 제주로 올릴 수 있다면 그것만으로도 고마운 효도이
  • 고 정성이지 않겠는가.

    지역별로 제주로 삼을 만한 전통 약주가 있다. 전라도의 해남 진양주, 충청도의
  • 한산 소곡주, 아산 외암리 연엽주, 금산 인삼주, 청양 구기주, 경상도의 경주교동
  • 법주, 문경 호산춘 등이다. 이 술들은 밀주 단속이 심했던 금주령 시대에도 끈질
  • 기게 생명력을 보존, 지금에 이르러서 문화재가 되었다. 이 술들이 살아남을 수
  • 있었던 이유는 단 한가지다. 모두 제주였다는 점이다. 장인들은 제사를 받들기
  • 위해 목숨처럼 소중하게 이 술을 지켜온 것이다.

    예로부터 술은 천상과 지상의 영혼을 연결해주는 음식으로 믿어져 왔다. 그래서
  • 제사에 꼭 필요한 음식으로 술이 꼽히는 것이다. 제사상에서 움직이는 것은 하늘
  • 로 향하는 향 연기와 술밖에 없는 걸 보면 수긍이 가는 대목이 있다. 그런데 술을
  • 천상에 올린다지만, 이 술이 곧 복이 되어 지상에 내리니 제주가 곧 복술이다.

    올 추석에는 무슨 술을 올려 음복할까? 아직 생각지 못했다면 지금이라도 생각해
  • 보시라. 제주를 올리면 복술이 생기고, 제주가 없으면 복술도 없나니.
  • 이미지를 클릭하면 원본을 보실 수 있습니다.

 

  • 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         

출처 : 늘 건강하시고 행복한 시간되세요
글쓴이 : 고향초 원글보기
메모 :